[CVAT] Auto Annotation을 위한 nuctl 커맨드 설치 방법

이미지
Nuclio 설치 방법 Auto Annotation을 위해 nuctl 커맨드를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nuctl 설치 nuctl이란 nuclio's command-line interface(CLI)의 약자입니다. CLI(Command Line Interface)는 명령어 인터페이스이며, 텍스트를 입력하여 컴퓨터에 명령을 내리는 방식입니다. (linux ls 명령어 등) nuctl을 설치하기 위해선 nuclio 버전을 확인해야합니다. cvat git clone한 경로에서 아래 명령어 입력 후, nuclio 버전을 확인합니다. cat components/serverless/docker-compose.serverless.yml Copy 버전 확인 후, 여기 에서 본인에게 맞는 버전을 확인하세요. 맞는 버전을 확인했으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nuclio를 다운합니다.(여기선 버전 1.13.22 & os는 linux로 진행) wget https://github.com/nuclio/nuclio/releases/download/<version>/nuctl-<version>-<os>-amd64 Copy 다운로드 완료했으면, permission 할당과 symbolic link를 할당합니다. sudo chmod +x nuctl-<version>-<os>-amd64 sudo ln -s $(pwd)/nuctl-<version>-<os>-amd64 /usr/local/bin/nuctl ls -ll /usr/local/bin/nuctl Copy symbolic link는 절대경로로 줘야합니다. (위 사진 초록색 경로 참고) 위 과정이 정상적으로 이뤄졌다면 아래 명령어를 통해 제대로 설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nuctl Copy ...

[CVAT] CVAT 원격 IP 포트포워딩하는 방법

이미지
CVAT 원격 IP 포트포워딩 방법 CVAT에서 localhost:8080이 아닌 외부IP:포트를 이용해서 내부IP:8080으로 포트포워딩하여 접속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CVAT_HOST 설정 포트포워딩을 하기 앞서 localhost가 아닌 IP 설정을 진행합니다. cvat clone한 경로로 이동한 상태에서 .env 파일을 생성합니다. (해당 파일은 도커의 환경변수 설정 파일) .env 파일안에 CVAT_HOST={본인의 IP}를 기재합니다. vi .env CVAT_HOST=your IP Copy 2. 포트포워딩 설정 외부IP에서 내부IP로 접근하기 위해선 포트포워딩이 필요합니다. 본인 공유기에 접속하여 포트포워딩을 진행합니다. (본인이 원하는 포트 -> 8080으로 설정) 3. CVAT 실행 이미 데몬을 띄운 상태라면 데몬을 종료합니다. docker compose -f docker-compose.yml -f components/serverless/docker-compose.serverless.yml down Copy 이후 데몬을 재실행합니다. docker compose -f docker-compose.yml -f components/serverless/docker-compose.serverless.yml up -d Copy 재실행 후 웹브라우저에서 http://본인IP:설정한포트 로 접속하면 정상적으로 접근되는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그래도 접속이 안된다면? 4-1. Traefik 포트 확인 docker-compose.yml 파일에서 tracefik의 포트가 8080:8080 & 8090:8090으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세요. IP:8080으로 Traefik에 접속 요청이 들어오는 부분입니다. 4-2. 포트포워딩 확인 외부IP에서 포트포워딩을 통해 내부IP:8080으로 접속 해...

[linux] ImportError: libGL.so.1: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간단 해결 방법

ImportError: libGL.so.1: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해결 방법 libgl1 설치를 진행하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apt-get update && apt-get install libgl1 Copy 참고 문헌 [1]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5313610/importerror-libgl-so-1-cannot-open-shared-object-file-no-such-file-or-directo

[OS] ssh 접속 시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에러 및 ssh-keygen 안되는 경우 해결 방법

이미지
ssh,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 ssh-keygen 에러 해결 방법 ssh 접속을 하려다 보면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에러가 발생하는데, 해결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Host Key verfication failed 해결 방법 서버 인증키 갱신으로 local ssh key에 저장된 값과 다르다는 메세지가 나옵니다. ssh-keygen -R {your_ip} Copy 위 사진처럼 되지 않는 경우에는 아래 방법을 확인하세요. 2. known_hosts 주소 삭제 방법 ssh-keygen에서 검색하는 known_hosts는 /var/root/.ssh/known_hosts 경로인데 ssh가 조회하는 host 목록은 ~/.ssh/known_hosts 경로입니다. 두 명령어의 조회 경로가 다르다보니 ssh-keygen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우리는 위 ssh의 known_hosts 파일을 열어서 접속하고자하는 기존 IP값을 삭제하여 오류를 해결하겠습니다. vi ~/.ssh/known_hosts Copy 삭제하고자하는 IP를 찾아서 삭제합니다. (저는 위 사진 부분 삭제) 이후 다시 ssh로 접속을 시도하면 정상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 문헌 [1]   https://dhlee-study.tistory.com/16

[Linux] Ubuntu VLC Player 기본 플레이어 설정 방법

이미지
VLC 기본 플레이어 설정 방법 Ubuntu에서 VLC 플레이어를 기본 플레이어로 설정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플레이어 설정 1. "Settings"를 열어줍니다.(WIN 키를 누르고 settings 검색) 2. "Default Applications" 클릭합니다.(왼쪽 최하단 확인) 3. Video 부분을 VLC media player로 변경합니다. 참고 문헌 [1]   https://jjeongil.tistory.com/2047

[Raspberry Pi] 라즈비안 OS 설치 방법

이미지
라즈베리파이 라즈비안 OS 설치 라즈베리파이4를 이용해 라즈비안 OS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설치를 진행하기 전 아래 준비 물품이 필요합니다. MicroSD Card 16GB 이상 MicroSD 카드리더기(SD카드 컴퓨터와 연결) 1. MicroSD Card 포맷 Micro SD 카드 초기화를 진행해야 합니다. 여기 에서 2번을 참고하여 진행하세요.(필요없는 분들은 2번으로) 2. Raspberry Pi IMG 다운 Raspberry Pi 사이트에서 Raspberry IMG 파일을 다운받습니다. 본인 컴퓨터 OS에 해당하는 버전을 클릭하세요.(저는 MAC으로 진행합니다) https://www.raspberrypi.com/software/ 3. MicroSD Card 이미지 쓰기 2번에서 다운받은 파일을 실행합니다. 라즈베리파이 모델과 운영체제 버전을 선택하여 설치 진행 장치 선택 - 본인 라즈베리파이 모델(저는 라즈베리파이4 입니다) 선택 운영체제 선택 - 본인 운영체제(저는 64bit 입니다) 선택 저장소 선택 - 본인 SD카드 경로 선택 설정을 완료했으면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선택사항)와이파이 연결이나 SSH 등을 미리 설정(설정을 안할분들은 아니요 클릭) 일반 - 사용자 및 와이파이 설정 서비스 - SSH 설정 옵션(통계 수집을 원치 않으면 체크박스 해지) SD카드에 OS 쓰기 진행 예 클릭 쓰기 진행 쓰기 완료 4. 라즈베리파이 부팅 SD카드를 뽑아서 라즈베리파이에 삽입합니다. 라즈베리파이 전원을 연결합니다. 부팅을 기다리다보면 아래와 같이 정상적으로 설치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부팅이 안된다면 SD카드가 제대로 삽입되었는지 확인 후 다시 부팅해보세요. 참고 문헌 [1]   https:...

[Window] 파이썬(python) 설치 방법

이미지
파이썬 설치 방법 파이썬을 윈도우에서 설치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파이썬 설치 여기 에서 최신 파이썬 설치 프로그램을 다운받습니다. 다운받은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실행 후 나오는 창에서 아래 Add python.exe to PATH를 설정하고(아니면 추후 환경변수에서 설정 필요) Install Now를 누르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아래는 설치 진행 중인 화면입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아래 화면이 나옵니다. Close 버튼을 클릭하여 창을 닫습니다. 파이썬 설치 확인 이후 cmd 창에서 python -V를 통해 python이 제대로 설치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python 버전이 나오지 않는 분들은 위에서 설치할 때 Add python.exe to PATH를 설정했는지 확인하세요. 참고 문헌 [1]   https://dotiromoook.tistory.com/32